28. 옥수수
가. 재배와 기계화가 용이함
나. 줄기가 튼튼하여 기계로 병해충 방제를 쉽게 할 수 있지만 강풍이나 조수해 피해로 인해 도복피 해를 입기 쉬움
다. 생육기 초반에 가뭄이 지속되면 파종이 지연되고 발아가 불량할 수 있음
라. 온도가 낮으면 줄기가 약해져 도복피해가 발생 할 수 있으며 장마기에 비가 많이 오면 습해로 인해 깜부기병 등 병해가 많이 발생하는데 농작물재해보험에서 병충해는 보장하지 않음
29. 양배추
가. 봄재배, 가을재배 구분됨
나. 농작물 재해보험대상인 가을재 배는 고온기인 7월에 파종하여 가을의 적온기에 결구를 완성시키는 작형으로 생육초기의 고온에 견딜 수 있고 생육기간 중에 비교적 적은 일조 조건하 에서도 결구가 잘 되는 양배추 품종이 적합함
다. 고온에서는 생육이 느려지고 병해충에 대한 저항력도 약해지고 저온에 대한 내한성은 강하나 품종과 생육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음
라. 가을재배용 품종은 –10℃까지는 동해에 잘 견디며 그 이하의 저온에서도 단시간 경과 시에는 상해를 입지 않는 품종도 있음
마. 내서성은 비교적 약하며 30℃ 이상의 고온에서는 생육의 장해를 받음
바. 연작장애가 발생하므로 십자화과 채소를 재배한 밭에서는 3~4년간 간격을 두고 재배하는 것이 좋음
사. 토양온도가 저온에는 조기추대, 고온에서는 결 구형성이 잘 안되며, 가뭄에는 열구 등의 생리장해가 발생될 수 있음
아. 농작물재해보험에서 검은 썩은병, 진딧물 등 병충해는 보장하지 않음
30. 콩
가. 콩은 1g의 물질을 생산하기 위해 소비하는 물의 양, 즉 요수량이 비교적 높은 작물이므로 가뭄피해에 취약함
나. 염분에 견디는 성질이 약해 간척지 등 염분이 많은 지역에서는 잘 자라지 못함
다. 재배기간 중 잦은비와 따뜻한 날씨가 지속되면 자주무늬병 등 병해충이 많이 발생하며 병충해는 보장하지 않음
31. 팥
가. 팥은 생육기간 중 너무 건조하면 식물체의 생장과 결실률이 떨어지고 진딧물 발생이 많아져서 수량과 품질이 떨어짐
나. 과습 – 잘록병
다. 꽃피는 시기 및 익는 시기에 잦은 강우에 세찬 바람이 불면 꽃이 떨어지고 꼬투리의 발육이 나빠지며, 쓰러짐이 발생하게 되어 수량과 품질이 동시에 떨어짐
라. 작물이 어릴 때에는 가뭄에 비교적 잘 견디지만 생장하며 흙수분이 부족하거나 날씨가 가물면 정상적인 생장에 직접 영향을 받으며, 꽃과 꼬투리가 떨어지고 빈 꼬투리가 생기며 씨알이 작아짐
마. 흙수분이 지나치면 통기가 나빠지고 근 류균의 생육이 나빠져 식물체가 일찍 쇠퇴하게 됨
바. 어릴 때 늦서리와 성숙할 때 저온과 일찍 오는 서리에 매우 약함
사. 농작물재해보험에서 바이러스병, 담배거세미나방등 병충해는 보장하지 않음
'손해평가사 > 농작물 가축 재해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20) (0) | 2024.02.02 |
---|---|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9) (0) | 2024.02.01 |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7) (0) | 2024.01.30 |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6) (0) | 2024.01.26 |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4) (0) | 2024.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