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복분자
가. 복분자는 줄기의 수가 60~90%를 차지하고 있어 겨울철에 가지가 얼어 죽거나 말라죽는 경우가 많음
나. 겨울철 일교차가 심하면 낮 동안에는 상대습도가 낮아지면서 줄기의 상처 부위를 통해 수분이 수탈되어 건조피해를 입을 수 있음
다. 겨울철에 한풍을 맞을 수 있어 기온이 급격히 내려가는 지역은 가지가 고사하기도 함
라. 뿌리는 지표면 30㎝ 이내 지점에 분포되어 있고 염류에 약할 뿐만 아니라 습 해에 잘 견디지 못함
마. 고온다습과 강우가 잦을 때 탄저병 발생이 증가함
바. 병원균 포자는 비바람, 태풍 등에 의하여 전파되기 쉬움
사. 7월에 비가 자주 내려 습도가 높아지면 발생이 심해지고, 병원균 포자가 빗방울에 의해 튀어 확산되어 피해를 증가시킴
19. 무화과
가. 무화과는 비교적 온도가 높고 비가 적게 내리며, 여름철 강수량이 적고 건조한 기후대에 적합한 나무
나. 성숙기에 강우가 잦을 경우 과일에 열과가 생기거나 산패하기 쉬워 품질이 저하됨
다. 잦은 강우에 의하여 일조량이 부족해지면 착색이 불량하여 품질이 저하되고 수량도 감소함
라. 무화과 과수원은 비가 내린 후 곧바로 배수가 되어 침수가 없을 정도로 물빠짐이 좋아야 함
마. 역병에 걸리면 과일이 쉽게 낙과하고 역병 등 병충해는 보상하지 않기 때문에 조사 시 병해충으로 인한 피해의 구분이 필요
20. 밀
가. 벼 수확 후 논의 과습으로 파종작업이 불가능하거나 단기간에 수확하고 건조하여야 하는데 수확시기가 장마기와 겹쳐 수확기간이 길어지면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기도 함
나. 출수와 개화기에 과도하게 기온이 낮거나 높으면 수정이 저해되어 불임이 될 우려가 있음
다. 등숙기의 기온이 급상승하면 겉마르기 쉽고 등숙기간이 짧아지면 종실의 발달이 불량해짐
라. 등숙기의 기온은, 특히 밤에 온도가 높고 토양이 건조하면 줄기와 잎이 푸른데도 갑자기 퇴색되어 겉말라 익는 현상이 나타남
마. 농작물재해보험에서 녹병 등 병충해는 보장하지 않음
'손해평가사 > 농작물 가축 재해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7) (0) | 2024.01.30 |
---|---|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6) (0) | 2024.01.26 |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3) (0) | 2024.01.23 |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2) (1) | 2024.01.21 |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1) (0) | 2024.0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