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손해평가사/농작물 가축 재해보험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4)

by eunothi 2024. 1. 24.

18. 복분자

. 복분자는 줄기의 수가 60~90%차지하고 있어 겨울철에 가지가 얼어 죽거나 말라죽는 경우가 많음

. 겨울철 일교차가 심하면 동안에는 상대습도가 낮아지면서 줄기의 상처 부위를 통해 수분이 수탈되어 건조피해를 입을 있음

. 겨울철에 한풍을 맞을 수 있어 기온이 급격히 내려가는 지역은 가지가 고사하기도 함

. 뿌리는 지표면 30이내 지점에 분포되어 있고 염류에 약할 뿐만 아니라 해에 견디지 못함

. 고온다습과 강우가 잦을 때 탄저병 발생이 증가함

. 병원균 포자는 비바람, 태풍 등에 의하여 전파되기 쉬움

. 7월에 비가 자주 내려 습도가 높아지면 발생이 심해지고, 병원균 포자가 빗방울에 의해 튀어 확산되어 피해를 증가시킴

 

 

19. 무화과

. 무화과는 비교적 온도가 높고 비가 적게 내리며, 여름철 강수량이 적고 건조한 기후대에 적합한 나무

. 성숙기에 강우가 잦을 경우 과일에 열과가 생기거나 산패하기 쉬워 품질이 저하됨

. 잦은 강우에 의하여 일조량이 부족해지면 착색이 불량하여 품질이 저하되고 수량도 감소함

. 무화과 과수원은 비가 내린 후 곧바로 배수가 되어 침수가 없을 정도로 물빠짐이 좋아야 함

. 역병에 걸리면 과일이 쉽게 낙과하고 역병 등 병충해는 보상하지 않기 때문에 조사 병해충으로 인한 피해의 구분이 필요

 

 

20.

. 벼 수확 후 논의 과습으로 파종작업이 불가능하거나 단기간에 수확하고 건조하여야 하는데 수확시기가 장마기와 겹쳐 수확기간이 길어지면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기도 함

. 출수와 개화기에 과도하게 기온이 낮거나 높으면 수정이 저해되어 불임이 될 우려가 있음

. 등숙기의 기온이 급상승하면 겉마르기 쉽고 등숙기간이 짧아지면 종실의 발달이 불량해짐

. 등숙기의 기온은, 특히 밤에 온도가 높고 토양이 건조하면 줄기와 잎이 푸른데도 갑자기 퇴색되어 겉말라 익는 현상이 나타남

. 농작물재해보험에서 녹병 병충해는 보장하지 않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