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무
가. 무 재배는 가을 김장무 재배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농작물재해 보험에서는 조기 출하를 하기 위해 하우스 재배를 하는 봄무 재배, 고랭지에서 재배하는 고랭지 무, 따뜻한 제주지역에서의 월동무가 가입대상임
나. 무는 재배하기에 서늘한 기후가 적당하고, 추위와 더위에는 약한 편
다. 저온에서도 비교적 견디기는 하지만 성장을 마친 무는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 동해피해를 입을 수 있음
라. 뿌리가 터지는 것은 수확기가 늦어지면 일어나기 쉬우며 토양수분이 많으면 뿌리 무게가 증가하기 때문에 뿌리가 터질 (열근) 가능성이 크며 자라는 중간에 건조해도 발생하기 쉬움
마. 뿌리가 터지는 시기는 일정하지는 않지만, 재배 시기상이나 토양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발생되며, 특히 높은 수분상태보다는 건조했다가 수분이 많아지는 경우에 터지는 현상이 많아짐
바. 농작물 재해보험에서 더뎅이병, 배추흰나비(유충) 등 병충해는 보장하지 않음
38. 시금치
가. 고온에서는 장해를 받기 쉬운 반면, 저온에는 아주 강해서 0℃ 이하에서도 한해 를 받지 않고, 일시적으로는 –10℃에서도 견딤
나. 한해를 받아 지상부가 말라 죽더라도 뿌리가 살아남아 기온이 상승하면 다시 싹이 남
다. 고온에는 아주 약해서 25℃ 이상에서는 병해가 많이 발생하기 쉬움
라. 산성토양에서는 극히 약하며 pH 5.0 이하에서는 발아가 나쁘고 발아를 해도 떡 잎이 작아서 생기를 잃으며, 잎 끝과 주변이 점차 황화하고 뿌리 끝이 황갈색이 되면서 발육이 정지되어, 결국에는 말라 죽을 수 있음
39. 파
가. 재배시기에 따른 분류는 봄 파종과 가을 파종 재배로 나눌 수 있으며 농작물재 해보험에서는 대파와 쪽파(실파)로 나뉘며 쪽파(실파)는 다시 사업지역과 파종 및 수확시기로 가입대상이 1형·2형으로 구분됨
나. 파는 비교적 냉랭한 기후조건에서 생육이 왕성함
다. 저온에서는 다습(토양수분이 포화상태)이 계속되어도 생육 불량이나 뿌리의 고사현상은 발생하지 않지만 25℃ 이상의 고온에서 다습하게 되면 잎이 말라 들어가고 뿌리가 흑갈색으로 변하면서 전체가 말라서 죽게 됨
라. 농작물 재해보험에서 흑색썩음균핵병, 파굴파리 등 병충해는 보장하지 않음
<쪽파(실파)의 가입대상 구분>
구분 | 내용 |
1형 |
충남 아산 지역에서 9월 15일 이전에 파종하거나, 전남 보성 지역 에서 재배하여 당해연도에 수확하는 노지 쪽파(실파) |
2형 |
충남 아신 지역에서 9월 15일 이후에 파종하여 이듬해 4~5월에 수 확하는 노지 쪽파(실파) |
40. 인삼
가. 육기간 동안 비교적 서늘하고 건조한 기후를 좋아하는 작물이지만 출 아기인 봄철에 냉해가 유발되기 쉬움
나. 인삼은 반음지성 식물로서 해가림시설 내에서 재배되기 때문에 다른 작물에 비 하여 수분 증산량이 적고 가뭄에 잘 견디는 내한성이 강한 편임
다. 5~6 월의 뿌리 신장기 및 비대기에 장기간 가뭄을 겪으면 뿌리 신장 발육이 불량 해져 후기생육도 불량해질 수 있음
라. 4~5월에는 강우량이 적어 토양수분이 부족하고, 강우량이 집중되는 7~8월에는 토양과습 등으로 인해 적변(뿌리 표면이 붉게 변하는 증상) 및 근부병(뿌리썩음병)이 증가되고, 일조량이 부족하여 근비대가 억제되는 경향이 있음
마. 신개간지나 척박한 토양에서는 인삼의 생육이 부진하지만 너무 비옥한 토양은 뿌리썩음병 등 병해충이 많이 발생할 수 있으며 농작물재해보험에서 병충해는 보장하지 않음
41. 차
가. 차는 40℃를 넘어가는 고온에서는 잎이 타는 고온장해가 발생할 수 있음
나. 겨울철 기온이 낮으면 새싹이 동해를 받아 고사할 수 있으며, 심하면 가지가 고 사하는 등 피해가 많아질 수 있음
다. 차 나무가 잘 자랄 수 있는 적당한 토양은 약산성 토양이다. 반면에 pH 6~7의 중성 토양에서는 차 생육이 좋지 않을 수 있으며, 오히려 강산성인 pH 3~4에서도 생육을 하는 특이한 성질을 갖고 있음
라. 차 떡병 등 병충해는 보장하지 않음
'손해평가사 > 농작물 가축 재해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22) (1) | 2024.02.06 |
---|---|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21) (0) | 2024.02.05 |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9) (0) | 2024.02.01 |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8) (1) | 2024.01.31 |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7) (0) | 2024.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