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손해평가사2차5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21) 제3절 농작물재해보험 상품내용 1. 과수작물 가. 적과전 종합위험방식 상품(사과, 배, 단감, 떫은감) 구분 약관 내용 과실 손해 보장 보통약관 (기본) 적과전 자연재해, 조수해, 화재로 인한 적과종료 전의 과실손해를 보장 적과후 태풍(강풍), 우박, 집중호우, 화재, 지진, 가을 동상해, 일소피해로 인한 적과종료 후의 과실 손해를 보장 적과종료이전 특정위험 5종 한정보장 특약 (선택) 해당 특약 가입 시 적과종료 이전에는 태풍, 우박, 집 중호우, 지진, 화재를 제외한 손해는 보장하지 않으며, 적과종료 후에는 보통약관의 내용과 같이 보장 적과종료이후 가을동상해 부보장 특약 (선택) 해당 특약 가입 시 적과종료 이후에는 가을동상해로 인한 손해를 보장하지 않으며, 적과종료 이전에 대해 서는 보통약관의 내용.. 2024. 2. 5.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9) 32. 브로콜리 가. 이용 부위를 기준으로 할 때 브로콜리는 화채류로 분류되어 꽃봉오리인 화뢰를 수확 대상으로 하며, 물빠짐이 불량하거나 습한 곳, 그리고 사질토양에서 재배 하면 생육이 불량해짐 나. 8월~10월에 비가 잦으면 습해로 인해 이상꽃봉오리가 발생하는 등 피해를 입을 수 있으며, 농작물재해보험에서 검은썩음병, 도둑나방등 병충해는 보장하지 않음 33. 메밀 가. 생육 기간에 온도와 수분이 부족하거나 과다할 때 메밀 착립을 감소 시키는 주요인이 되어 그 결과 종실 수량을 감소시킴 나. 잦은 비와 무더운 기상 조건이 겹치게 되면 메밀 착립 및 종실 발육이 좋지 않음 다. 산성 토양에서도 내성이 강하고 사질이나 식양토 같은 배수가 양호한 토양에 가장 잘 적응하지만 석회석 함량이 높은 토양이나 다습한 .. 2024. 2. 1.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8) 28. 옥수수 가. 재배와 기계화가 용이함 나. 줄기가 튼튼하여 기계로 병해충 방제를 쉽게 할 수 있지만 강풍이나 조수해 피해로 인해 도복피 해를 입기 쉬움 다. 생육기 초반에 가뭄이 지속되면 파종이 지연되고 발아가 불량할 수 있음 라. 온도가 낮으면 줄기가 약해져 도복피해가 발생 할 수 있으며 장마기에 비가 많이 오면 습해로 인해 깜부기병 등 병해가 많이 발생하는데 농작물재해보험에서 병충해는 보장하지 않음 29. 양배추 가. 봄재배, 가을재배 구분됨 나. 농작물 재해보험대상인 가을재 배는 고온기인 7월에 파종하여 가을의 적온기에 결구를 완성시키는 작형으로 생육초기의 고온에 견딜 수 있고 생육기간 중에 비교적 적은 일조 조건하 에서도 결구가 잘 되는 양배추 품종이 적합함 다. 고온에서는 생육이 느려지고 .. 2024. 1. 31.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6) 22. 보리 가. 출수기경(5월)에 높은 온도와 잦은 강우가 지속되면 맥류 전체의 수량성 감소와 함께 발아 저하 등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침 나. 보리는 산성 토양에 극히 약하며 쌀보리는 겉보리보다 더욱 약함 다. 어느 정도의 알칼리성 토양에서는 잘 견디는 특성을 갖고 있음 라. 농작물재해보험에서 붉은곰팡이병, 깜부기병 등 병충해는 보장하지 않음 23. 마늘 가. 마늘은 내한성이나 내서성이 아주 강한편은 아니기에 폭염이나 냉해의 피해를 입기 쉬움 나. 12시간 이상 장일조건에서 구 비대가 촉진되고 12시간 이하의 단일조건 하에서는 구비대가 억제되며 벌마늘 발생이 많아짐 다. 토양이 건조하게 되면 토양 중에 있는 양분이 흡수 이용하기 어려운 불가급 태로 되어 생육에 지장을 줌 라. 파종 후나 월동 시에 건조.. 2024. 1. 26.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4) 18. 복분자 가. 복분자는 줄기의 수가 60~90%를 차지하고 있어 겨울철에 가지가 얼어 죽거나 말라죽는 경우가 많음 나. 겨울철 일교차가 심하면 낮 동안에는 상대습도가 낮아지면서 줄기의 상처 부위를 통해 수분이 수탈되어 건조피해를 입을 수 있음 다. 겨울철에 한풍을 맞을 수 있어 기온이 급격히 내려가는 지역은 가지가 고사하기도 함 라. 뿌리는 지표면 30㎝ 이내 지점에 분포되어 있고 염류에 약할 뿐만 아니라 습 해에 잘 견디지 못함 마. 고온다습과 강우가 잦을 때 탄저병 발생이 증가함 바. 병원균 포자는 비바람, 태풍 등에 의하여 전파되기 쉬움 사. 7월에 비가 자주 내려 습도가 높아지면 발생이 심해지고, 병원균 포자가 빗방울에 의해 튀어 확산되어 피해를 증가시킴 19. 무화과 가. 무화과는 비교적 .. 2024. 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