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보리
가. 출수기경(5월)에 높은 온도와 잦은 강우가 지속되면 맥류 전체의 수량성 감소와 함께 발아 저하 등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침
나. 보리는 산성 토양에 극히 약하며 쌀보리는 겉보리보다 더욱 약함
다. 어느 정도의 알칼리성 토양에서는 잘 견디는 특성을 갖고 있음
라. 농작물재해보험에서 붉은곰팡이병, 깜부기병 등 병충해는 보장하지 않음
23. 마늘
가. 마늘은 내한성이나 내서성이 아주 강한편은 아니기에 폭염이나 냉해의 피해를 입기 쉬움
나. 12시간 이상 장일조건에서 구 비대가 촉진되고 12시간 이하의 단일조건 하에서는 구비대가 억제되며 벌마늘 발생이 많아짐
다. 토양이 건조하게 되면 토양 중에 있는 양분이 흡수 이용하기 어려운 불가급 태로 되어 생육에 지장을 줌
라. 파종 후나 월동 시에 건조하면 뿌리의 발육이 불량하여 동해를 받게 됨
마.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서는 마늘의 품질이 나빠지고 흑색썩음균핵병, 뿌리응애, 고자리파리 등 병해충의 피해도 많아지게 되며 농작물재해보험에서 병충해는 보장 하지 않음
24. 양파
가. 저온에는 비교적 강하나 고온에는 약한 작물로서 경엽 생육시 온도가 높을수록 생장도 빠르나 아울러 노화도 빠름
나. 고온에서는 생육이 둔해지고 고온이 계속되면 생육이 정지되고 휴면에 들어감
다. 월동 후 생육이 재생된 다음에는 건조 및 과습이 생육과 구비대에 피해가 큼
라. 농작물재해보험에서 노균병, 잎마름병 등 병충해는 보장하지 않음
25. 고추
가. 고추의 뿌리는 주로 토양 속에서 깊이 자라지 않고 흙의 표면에 분포하는 천근성(淺根性 , 뿌리가 깊게 들어가지 않는 성질)을 갖고 있음
나. 토양이 건조하면 수량이 낮아지며 여러 가지 생육 장해가 발생함
다. 고추는 역병, 탄저병 등 병해충 피해를 입기 쉬운 작물이라 병해충을 등급별로 나누어 보장해 줌
라. 역병은 육묘상에서 전 생육기에 발생되며 노지에서는 6월 초순부터 발생되고, 장마기에 주로 전반되어 8,9월에 발생이 가장 심함
마. 토양이 장기간 과습하거나 배수가 불량하고 침수되면 병 발생이 조장되는데 연작지에서 발생이 더욱 빈번함
바. 탄저병은 고온다습과 강우가 잦을 때 병 발생이 증가하는데, 병원균 포자는 비 바람, 태풍 등에 의하여 전파되기 쉬움
사. 7월에 비가 자주 내려 습도가 높 아지면 발생이 심해지고, 병원균 포자가 빗방울에 의해 튀어 확산되는데 이로 인해 30% 이상 수량이 감소하여 피해를 초래하기도 함
아. 잿빛곰팡이병은 여름철 장마기때 주로 발생하며 과실과 줄기 및 가지에서 발생함
자. 과실에서는 풋고추의 꽃이 달린 부위에서부터 회색으로 물러 썩으며 진전되면서 과실의 안쪽으로 썩어 올라가며 감염부위에는 잿빛의 곰팡이가 많이 형성됨
차. 줄기와 가지에서는 줄기와 가지가 빙 둘러 썩으며 병반이 확대되고, 감염부위 위쪽은 말라죽게 됨
카. 시들음병은 초기에는 아랫잎이 시들며 밑으로 처지는데, 역병의 초기 증상과 비 슷하지만 병 진전이 느리고 잎이 약간 누렇게 변하면서 서서히 죽고 병든 뿌 리나 줄기는 불에 탄 것처럼 검게 보이고 껍질은 쉽게 벗겨지는 것이 특징임
<고추 병해충 등급별 인정비율>
구분 | 병·해충 | 인정비율 | |
품목 | 급수 | ||
고추 | 1등급 | 역병, 풋마름병, 바이러스병, 세균성점무늬병, 탄저병 | 70% |
2등급 | 잿빛곰팡이병, 시들음병, 담배가루이, 담배나방 | 50% | |
3등급 | 흰가루병, 균핵병, 무름병, 진딧물 및 기타 | 30% |
'손해평가사 > 농작물 가축 재해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8) (1) | 2024.01.31 |
---|---|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7) (0) | 2024.01.30 |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4) (0) | 2024.01.24 |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3) (0) | 2024.01.23 |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2) (1) | 2024.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