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브로콜리
가. 이용 부위를 기준으로 할 때 브로콜리는 화채류로 분류되어 꽃봉오리인 화뢰를 수확 대상으로 하며, 물빠짐이 불량하거나 습한 곳, 그리고 사질토양에서 재배 하면 생육이 불량해짐
나. 8월~10월에 비가 잦으면 습해로 인해 이상꽃봉오리가 발생하는 등 피해를 입을 수 있으며, 농작물재해보험에서 검은썩음병, 도둑나방등 병충해는 보장하지 않음
33. 메밀
가. 생육 기간에 온도와 수분이 부족하거나 과다할 때 메밀 착립을 감소 시키는 주요인이 되어 그 결과 종실 수량을 감소시킴
나. 잦은 비와 무더운 기상 조건이 겹치게 되면 메밀 착립 및 종실 발육이 좋지 않음
다. 산성 토양에서도 내성이 강하고 사질이나 식양토 같은 배수가 양호한 토양에 가장 잘 적응하지만 석회석 함량이 높은 토양이나 다습한 점질 토양에서는 잘 자라지 못함
라. 점질 토양은 표면이 딱딱해지면 파종 후 출아가 불량하여 입모 주수 확보가 어렵게 됨
마. 토양 수분이 부족하게 되면 수정을 저해하거나 접합체 발육 불량 및 이상을 초래하므로 가뭄이 지속되거나 고온일 때는 피해를 입을 수 있으며 농작물재해보험에서 흰가루병, 진딧물 등 병충해는 보장하지 않음
34. 호박
가. 박과에 속하는 1년생의 덩굴성 초본 식물로 줄기는 덩굴성으로 길게 자람
나. 뿌리는 깊고 넓게 분포하여 흡비력과 내건성이 매우 강함
다. 생육초기 저온피해로 착과가 불량할 수 있고 4~7월 가뭄과 고온피해로 과실비대 불량, 생육불량, 일소피해를 입기 쉬움
라. 잦은 비로 인한 습해와 탄저병등 병해충 피해를 입기 쉽고, 농작물재해보험에서 아메리카잎굴파리 등 병충해는 보장하지 않음
35. 당근
가. 당근은 수분에 민감한 작물로 과습하면 표피가 거칠어지고 병충해가 생기며 뿌 리가 옆으로 커짐
나. 건조하게 되면 뿌리의 신장, 비대, 착색이 저해되며 수분이 불규칙적이라면 뿌리가 갈라지는 원인이 되기도 함
다. 저온이 지속되면 뿌리가 불량하고 착색이 저해되는 등 냉해피해를 입기 쉽고 제주 화산회토의 경우 비와 태풍으로 흙이 유실되어 뿌리 상단부 노출이 심하 므로 솎음 및 북주기가 필요함
라. 농작물재해보험에서 균핵병, 뿌리썩음병 등 병충해는 보장하지 않음
36. 배추
가. 호냉성 채소로 생육초기에는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잘 자라며 생장이 촉진되지만 결구를 시작하면 고온에는 약해져서 결구가 불량하며 정상적인 생육이 불가능해짐
나. 점질토 밭은 물 빠짐이 좋지 않으므로, 배추 재배에는 사질토 밭보다는 비교적 유리하지만 물이 너무 빠지지 않으면 배추 무름병 등의 발생이 쉽고, 물이 마 르면서 흙이 단단해지면 토양의 통기성이 불량해지는 단점이 있음
다. 배추의 구성성분은 대부분이 수분이며 짧은 기간에 왕성하게 발육하므로 비교적 많은 수분을 필요로함
라. 배추는 건조에 약하여 생육 초기에 가물면 잎 발생과 생육이 억제되어 수량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지만 지나치게 과습하면 뿌리가 뻗지 못하고 생육이 불량하게 됨
마. 우리나라의 배추 생육 초기인 8~9월에는 건조하므로 가뭄피해를 입기 쉽다. 농작물재해보험에서 무름병, 배추흰나비유충 등 병충해는 보장하지 않음
'손해평가사 > 농작물 가축 재해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21) (0) | 2024.02.05 |
---|---|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20) (0) | 2024.02.02 |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8) (1) | 2024.01.31 |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7) (0) | 2024.01.30 |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6) (0) | 2024.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