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손해평가사/농작물 가축 재해보험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9)

by eunothi 2024. 1. 18.

2절 농업재해보험 가입 대상 품목(시설작물 제외) 작물별 특성

 

1. 사과

. 비교적 서늘한 기후에서 재배되는 북부 온대과수

 

. 30이상의 고온이 되면 호흡작용이 왕성해져서 탄수화물 생성량보다 호흡에 의한 소비량이 많아 물질의 축적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과실비대가 불량해지고, 꽃눈형성도 나빠짐

 

. 일조시간이 부족하거나 햇빛의 투과가 나쁘면 새 가지의 신장이 불량해지고 꽃눈형성, 착과 및 과실발육이 나빠짐

 

. 내건성은 복숭아나무나 포도나무에 비해 약하기 때문에 가뭄피해에 유의해야 하며 건조기에는 관수가 필요함

 

. 봄철 냉해피해로 인해 착과과실수가 줄어들 수 있으며 우박, 일소, 강풍으로 인한 낙과피해가 주요 피해임

 

. 탄저병과 갈색무늬병 병충해는 농작물 재해보험에서 보상하는 재해가 아니므로 우박피해과 또는 일소피해과와 구분이 필요함

 

2.

. 배 과수원의 토양이 자갈이나 모래가 많으면 조기에 결실되지만 수량이 감소되고 수세가 약해짐

 

. 배수가 불량한 과수원은 뿌리가 땅속으로 깊이 뻗지 못하여 가뭄의 피해를 받기 쉽고 생산력도 떨어지며 과실품질도 좋지 않으며 조기낙엽, 동해발생 등이 많이 발생함

 

. 생육기의 긴 장마는 검은별무늬병 등 병충해 발생을 유발시킴

 

. 검은별무늬병은 과실 수량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으나 품질을 크게 저하시키나 사과와 같이 병충해로 인한 피해는 농작물재해보험에서 보상하지 않음

 

3. 단감

. 온대성 과수로서 생육기간 높은 온도를 필요로 함

 

. 단감은 떪은감보다 추위에 약하여 기온이 낮은 곳에서는 나무가 얼어 죽거나 꽃눈 착생 상태가 불량함

 

. 재식된 나무는 4~5년째부터 과실이 달리기 시작하여 15년이 되면 성과기에 이르고 40년이 지나면 노쇠하여 생산량이 줄어들고 품질이 저하되는 해거리가 심함

 

. 유목기(幼木期)가뭄 피해를 받기 쉽고 뿌리가 깊게 뻗기(근성,深根性) 때문에 성목기(成木期)에는 가뭄에 견디는 힘이 강함

 

. 모래땅, 자갈이 많이 섞인 경사지, 토심이 얕고 유기물 함량이 적은 토양은 토양 수분의 변화가 심하여 나무의 발육은 물론 과실비대가 불량하며, 낙과( 落 果 )가 심하며 과실이 햇볕에 데는 일소현상(日燒現象), 정부열과(頂部裂果), 꼭지들림, 조기낙엽 및 녹반증 등의 발생이 많음

 

. 일조량이 부족하면 동화량이 저하되고 저장양분이 부족하게 되어 과실이 낙과되 쉬우며 가지의 자람새가 불충실하고, 꽃눈 분화와 발육이 불량하여 다음해에 착과 결실에 커다란 영향을 미침

 

. 주요 재해로는 태풍·강풍으로 인한 엽피해와 수확기 가을동상해로 인한 피해 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