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농작물 가축 재해보험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 제도(12)

eunothi 2024. 1. 21. 00:58

11. 대추

. 대추는 기후 적응성이 매우 강한 과수로서 대추나무는 내한성과 내서성이 강함

 

. 저기온이 30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지역으로서 개화기인 6월 중·하순에 비가 적게 오고 태풍의 피해가 적은 내륙 지방이 대추재배에 적합

 

. 재래종과 사과대추(왕대추)로 구분하는데 재래종은 생과상태로 상품가치가 있는 생대추와 말린 상태로 상품가치가 있는 건대추로 나뉨

 

. 사과 대추와 생대추의 경우 장마 뒤 강한 햇빛을 동반한 폭염이 찾아오면 열과피해를 입을 수 있어 비가림 시설 등 관수 관리가 필요

 

. 노지 대추는 수정시기에 냉해피해를 입으면 과실 착과가 불량하여 수확량이 크게 감소 할 수 있음

 

. 생대추의 경우 생과로 판매되기 때문에 수확 한달전부터 농약 등 방제를 하지 않음

 

. 녹병, 흰가루병, 쐐기나방, 빗자루병 등 병충해 피해를 입을 수 있으며 빗자루병의 경우 병이 깊어지면 나무 전체가 고사하기도 함

 

. 나무손 해보장 특약이 없는 품목이기 때문에 나무가 고사할 정도로 빗자루병이 심화될 경우 농가의 경제적인 손실이 큼

 

12. 매실

 

. 매실나무는 연평균기온이 12~15되는 따뜻한 지역에서 안전하게 재배됨

 

. 매실은 다른 과수보다 휴면기간이 짧아서 겨울철의 온도 변화에 예민한 편

 

. 겨울철이 따뜻한 남부지방이나 따뜻한 해에는 개화기너무 빨라져 서리 피해를 받기 쉬워 불완전화의 발생이 많아짐

 

. 꽃가루 옮겨주는 꿀벌과 같은 방화곤충(訪花昆蟲) 활동이 활발하지 못하여 충분한 수분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결실률 또한 낮아짐

 

. 겨울철 기온이 낮은 지방 또는 겨울철 기온이 낮았던 해에는 생육이 늦고 개화기가 자연히 늦어 져서 봄동상해의 피해를 피할 있음

 

. 대부분의 품종이 거의 같은 시기에 개화되 방화 곤충의 활동이 활발하므로 수분과 수정이 이루어져 착과량이 증가함

 

. 남부의 따뜻한 지방에서 개화기가 빠른 해일수록 개화기가 늦은 해 보다 결실이 나쁠 때가 많은데 이는 개화기에 봄동상해의 피해를 받음

 

. 매실나무는 뿌리가 땅속 깊이 뻗지 않는 천근성이기 때문에 특히 가뭄에 약함

 

. 매실은 껍질채 이용되는 과실이기에 대추와 같이 수확 전 농약 등 방제를 하지 않아 검은별무늬병, 잿빛무늬병, 유리나방 등 병충해 피해가 많음

 

13. 살구

 

. 온대 북부지역의 비교적 한랭한 지역이 적합함

 

. 겨울이 따뜻한 지역에서는 휴면 타파가 불완전하여 생리적 낙화가 일어나고 성숙기에는 기온이 높아 과실의 성숙이 늦어져 재배가 어려움

 

. 살구나무는 매실나무보다 직립성이 강하고 크게 자람

 

. 유목기에는 나무의 세력이 왕성하여 수관 확대가 빠르고 결실연령에 도달하는 것도 빨라 봄 동상해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여 늦서리 피해에 의한 착과 부족 현상으로 수관 확대가 더욱 쉬워 거목이 되기 쉬움

 

. 겨울철 휴면은 매실보다 깊고 내한성도 자두보다 강하여 -20하에서도 견딜 있지만 개화 중이나 개화 직후의 늦서리나 추운 바람은 기관이나 어린 과실에 직접적인 영향으로 피해를 줄뿐 아니라 방화곤충의 활동을 어렵게 하여 결실에 나쁜 영향을 미침

 

. 과실 성숙기의 강우는 열과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됨

 

. 뿌리는 수분에 매우 약하므로 지하수위가 높은 과수원이나 물빠짐이 나쁜 곳에서 나무가 죽는 경우가 많음

 

. 장마철에는 물이 토양 속에 고이지 않도록 물빠짐시설 설치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