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공부기록[학개론1-1]
eunothi
2022. 11. 22. 23:40
- 부동산학 서설
- 과학을 순수과학과 응용과학으로 구분할 때, 부동산학은 응용과학에 속한다.
- 부동산학은 여러분야의 학문과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종합학문적 성격이다.
2.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
- 민법상 부동산은 토지 및 그 정착물을 말한다.
- 준부동산은 부동산과 유사한 공시방법을 갖춤으로써 넓은 의미의 부동산에 포함된다.
- 부동산의 경제적 개념에는 자산, 자본, 생산요소, 소비재 상품으로 구분한다.
- 공간으로서의 토지는 지표뿐만 아니라 지하와 공중을 포함하는 입체 공간을 의미한다.
- 접근성이란 어떤 목적물에 도달하는데 시간적,경제적,거리적 부담의 정도를 말하는데, 접근성이 좋을수록 부동산 입지조건은 양호하고 그 가치는 높다.
- 토지와 건물이 각각 독립된 거래의 객체이면서도 마치 하나의 결합된 상태로 다루어져 부동산활동의 대상으로 인식될 때 이를 복합 부동산이라 한다.
- 부지는 일정한 용도로 제공되고 있는 바닥토지를 말하며, 하천, 도로 등의 바닥토지에 사용되는 포괄적 용어이다.
- 택지는 주거 상업 공업용지 등의 용도로 이용되고 있거나 해당용도로 이용으할 목적으로 조성된 토지를 말한다.
- 나지란 토지에 건물이나 그 밖의 정착물이 없고, 지상권 등 토지의 사용 수익을 제한하는 사법상의 권리가 설정되어 있디 아니한 토지를 말한다.
- 필지는 구획되는 토지의 등록단위로서 하나의 지번을 가지고 지적공부에 등록되는 토지의 기본단위를 말한다.
- 획지는 인위적 자연적 행정적 조건에 따라 다른토지와 구별되는 것으로 가격수준이 비슷한 일단의 토지를 말한다.
- 후보지란 택지지역, 농지지역, 임지지역 상호간에 다른지역으로 전환되고 있는 지역의 토지를 말한다.
- 이행지란 택지지역, 농지지역, 임지지역에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토지이다.
3. 부동산의 특성
- 토지의 자연적 특성에는 부동성, 영속성, 개별성, 인접성 등이 있다.
- 토지의 인문적 특성에는 용도의 다양성, 병합 분할의 가능성, 위치의 가변성 등이 있다.
4. 부동산 경제론
- 수요는 어떠한 재화를 알정한 가격으로 사고자하는 욕구이고,수요량은 수요의 크기를 나타내는 양이다.
- 부동산 수요량은 특정가격 수준애서 부동산을 구매하고자 하는 의사와 능력이 있는 수단이다.
- 유량의 예로는 소득,수입,급여,월급,임금,가계소비,생산량,거래량 등이 있다.
- 저량의 예로는 인구,자산,자본,부채,통화량,가치,가격,재고량,재산 등이 있다.
- 수요의 법칙은 가격이 올라가면 수요량이 줄고 가격이 내려가면 수요량이 늘어난다는 법칙이다.
- 다른 조건이 일정할 경우 부동산 가격의 변화는 수요곡선 상의 이동을 가져온다.
- 수요곡선의 이동으로 인해 수요량이 변하는 경우를 부동산 수요의 변화라 한다.
- 정상재는 소득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데에 따라 수요도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재화이다.
- 대체재는 용도가 비슷하여 한 재화 대신에 다른재화를 소비해도 만족에는 별 차이가 없는 재화를 말한다.
- 보완재는 한 재화를 따로 소비할 때 보다 함께 소비할 때 더 큰 만족을 얻을 수 있는 재화를 말한다.
- 아파트 가격의 상승이 예상되면 수요의 변화로 수요곡선 자체가 우측으로 이동한다.
- 공급이란 어떠한 재화를 일정한 가격으로 판매하고자 하는 욕구를 말하고, 공급량은 공급의 크기를 나타내는 양을 말한다.
- 공급량이란 일정기간동안 또는 시점에 공급자가 주어진 가격으로 재화와 서비스를 판매하고자 하는 최대수량을 말한다.
- 공급의 법칙이란 가격이 오르면 공급량이 늘고 가격이 내리면 공급량이 줄어드는 법칙이다.
- 해당 부동산 가격변화에 의한 공급량의 변화는 다른 조건이 불변일 때 동일한 공급곡선 상에서 점의 이동으로 나타난다.
- 부동산 가격 이외의 다른요인이 변하면 그 부동산의 공급이 변하여 공급곡선이 이동한다.
- 한 국가 전체의 토지공급량이 불변이라면 토지의 물리적 공급곡선은 수직이 된다.
- 공급이 쉬워질수록 공급곡선의 기울기는 완만해지고 공급이 어려워 질수록 공급곡석의 기울기는 급해진다.